
계양산 가는 길
고성산 (123m), 계양산 (395m), 중구봉 (275m), 철마산 (286m),
원적산 (196m)

계양산성의 정자와 계양산
산행일시: 2007년 7월 10일 07시 30분 - 14시 산행시간 : 6시간 30분
소 재 지: 인천광역시 - 계양구, 서구, 부평구 날 씨: 흐림 산행거리: 약 15km
찾아 가는 길: 회룡역 - 1호선 전철로 부평역에서 환승 계산역까지 5번 출구


내부가 협소한 인천 지하철


계산역 - 7시 10분. 고성산 - 7시 45분. 계양산 정상 - 8시 30분(10분 휴식).
장명이 고개 - 9시 20분 중구봉 - 9시 45분( 간식 15분).
안부 - 이동주보 10시10분 (막걸리 10분간휴식) 철마산/군초소 - 10시 30분
헬기장 -10시 35분 (사격으로 30분간 휴식) 철마산 - 11시 50분 경인고속도로 - 12시
철마정 정자 - 12시 40분. 원적산 정상 - 12시 50분. 지적 삼각점 - 13시
새사미 아파트 - 13시 7분 164.9봉 - 13시 15분 장고개 - 13시 25분
인창 정보고등학교 - 13시 45분 신촌 삼거리 - 14시


가시 덤불 무성한 고성산 정상
계양산 가는 길. 늘어지게 2시간이 걸리는 전철 1호선
부평에서 환승하는 인천 지하철 계산역 5번 출구로 올라선다.
계산 고등학교 옆으로 4차선 도로를 건너
양념으로 고성산을 스쳐 지나면 연고 없는 공동묘지
칡넝쿨만 무성하고 계양구 너른 들엔
아파트의 천국이다.


무연고 공동묘지

왼쪽의 하늘금에 도봉산과 북한산이 선명하다
계양산성 올라서면 보수중인 팔각정
우마차도 다닐만한 너른 등산로 계양산 바라보며
야산을 넘어서면 하느재 쉼터 사거리에 당도한다.






하느재 쉼터에서 바라보는 계양산은 높기만하고
나무계단 돌층계 암릉의 로프까지 정상을 쉽사리 내어 줄소냐?



시원하게 불어오는 바람결에 가쁜숨 몰아쉬며 정상에 올라서면
가슴속이 후련하게 조망이 터진다.






정상에서 찍은 사진이 인연이되어
오늘의 상행길에 도우미를 자처하는 신 여사
상냥한 미소에 아름다운 미모 이런횡재를 어찌 거절할소냐?


시원하게 터지는 서해를 배경으로

한남 정맥의 분기점에서

이곳의 안부에서 좌측의 산사면을 끼고 돌아야한다.
호젖한 산길 무성한 오솔길에서
도란도란 나누는 정담은 가는길이 멀어도
느림보 걸음이라도 알바할 걱정이 없으니
마냥 즐겁기만 하다.

장명이 고개

중구봉 오르는 들머리에

뒤 돌아보는 계양산

이곳이서 간식과 음료수를 마시며


지적 삼각점도 지나고
참새가 방아간을 그냥 지나칠수 있는가?
철마산을 오르는 안부에 목로 주점 자리잡고
갈증나는 나그네의 시선을 유혹하는데
동행하는 신여사와 대작까지 하게 되었으니
이아니 좋을씨고.
흐르는 시간이 아깝지 않고 무릉도원으로 빠져나 볼까.
거나한 술기운에 가파른 비알길도 단숨에 오르고
길을 여는 신여사의 경쾌한 발걸음에
헐떡 거리는 숨소리는 미모에 취하고 말걸리에 취하고
이래저래 계양산은 풍운아의 천국이다.


군 초소가 있는 철마산 (286봉) 정상

지나온 계양산은 멀어만 가고

영종도를 건너는 신공항 대교

오른쪽으로 진행해야 할 마루금
시원한 바람이 불어오는 철마산 정상
사방을 둘러봐도 막힘없는 조망으로
한남정맥 종주길이 탄탄대로 열리고
높은곳만 산이더냐?
해안가의 표교가 제로라면 2 - 300m의 높이도
만만치가 않더라.


비단결 같은 산행길에 총소리가 웬일인가?
화들짝 놀란가슴 쓸어내리며 헬기장 안부에 내려서니
무장한 초병이 앞길을 가로막고 통행의 제지를 받는다.
지도에는 채석장으로 표시가 되어 있지만
예비군의 사격장이 곳곳에 산재해 있으니
위험천만으로 평일의 산행에는각별히 주의를 요하며
미안하다는 초병의 말 한마디에
우리 모두 순한 양이되어 무한정 하세월이다.
30여분의 지루한 시간이 흐른 뒤에야
우리의 앞길이 열리고 사선을 뛰어넘는
빠른 행보로 사지를 벗어나며 안도의 한숨을 내쉰다.



정자의 쉼터를 지나 활 처럼 휜 사격장의 능선을 넘어서면
221봉의 철마산을 지나 삼각점이 있는 225봉에 올라선다.




군 초소가 있는 정상에는 벤치도 놓여있고
신여사와 혜어질 시간이 임박한 아쉬움에
배낭을 풀어 김밥을 나누어 먹으며 고마움의 표시로
산행기를 건네주니 너무도 좋아하는 그 모습이 아름답게 보인다.

발치 아래로 하나 아파트와 한신빌리지
그 사이로 경인고속 도로가 질주하고 있다.
가파른 벼랑길을 내려가다보면 프라스틱 배수로가 방치되어 있고
하나 아파트의 후문으로 들어가 정문으로 나오면
4차선 도로에육교가 걸려있다.
이제 신 여사와 이별할 시간
우연이 만나 기약없이 헤어지게 되었지만
세시간 반 동안 꿈 같은 데이트로
알바 한번 하지 않고 미로와도 같은
정맥길을 지나왔으니 감사할 따름이다.
- 12시 -


경인고속도로 를 가로 지르는 육교를 지나면
한신빌리지 후문에 이르고 옆의 담장길을 타고 가면
서 인천 인터 체인지의 나들목이 되는 4차선 도로를 만나고
한신 빌리지 정문을 지나 야산 쪽으로 도로를 건너
채마밭으로 올라서면 오솔길이 열린다.

잠시후 잡목 사이로 등산로가 열리고
가정 약수 ㅇ,3km 의 철마정 0,9km의 이정표를 지나면
잔디없는 묘가 이색 적이다.


바위가 듬성듬성 놓여있는 쉼터에서 나머지 김밥으로 요기를 하고
널널하게 남아있는 시간에 여유를 부리며
완만한 산책길을 거슬러 오르니 널직한 공터에
철마정이 자리를 잡고있다.





지근 거리에 있는 원적산의 정상을 향하여 발걸음을 재촉하고
가슴에 걸고 있는 지도가 신기한듯 마주치는 사람마다 흘깃거리며
정상에서 만난 주민에게 백운역 가는길을 물어 보지만
고개만 갸웃 거린다.


지나온 능선 뒤에는 계양산이 있다.

거침없이 터지는 조망속에 건너편의 봉우리로 달려가니
이곳또한 시원한 조망속에 지적 삼각점과 벤치가 놓여있고
산 님을 만나 백운역 가는길을 물어보니
남쪽의 능선을 가리키며 앞으로 1시간 반 을 더가야 한다는
시원스런 대답에 고맙다는 인사와 함께 가파른 계단길을 내려선다.



마루금에 도봉산과 북한산이 선명하다.

나무계단이 끝나는 지점이 한일초교 정문앞으로 천마로가 지나고
횡단보도를 건너 면 5층짜리 새사미 아파트의 정문에 이른다.
정문을 들어서자 곧 바로 우측의 옹벽에 사다리가 있고
그곳으로 올라서면 절개지의 가장자리로 등산로가 열린다.

도심지를 통과하다보면 마루금이 잘리는것이야 다반사이지만
이곳의 절개지는 현기증이 날 정도로 높고 원적산으로 표시된 165봉의
삼각 점을 확인하고 건너편의 봉우리로 올라서면
이곳 또한 사격장의 경고 표시가 있어 긴장이 되지만
붉은 깃발이 없는것으로 보아 사격 시간이 끝난것으로
안도의 한숨을 쉰다.



50,000/1 지도에 표시된 곳이 여기 뿐이라 배낭속에 집어 넣고
능성따라 진행하면 장고개가 나타나지만
군부대의 펜스가 앞산의 허리를 두르고있어
어찌 진행해야 할지 난감하기 그지없다.

아림유치원이있는 가좌 2동에 내려서서 주민에게 물어보지만
좌측의 장고개를 넘어가면 백운역이 나온다는 막연한 대답으로
실망감을 감추지못하고 건너편의 유선형 차도를 따라 오르니
배드민턴장이 나오고 남쪽의 둔덕으로 오솔길이 열린다.


물건을 넣어두는 토굴
군부대의 펜스도 없이 널찍한 산책로에 완만한 등산로
무작정 남쪽의 주능선을 따라 1km 진행하다 산책나온 주민을 만나
그 분들의 조언으로 군부대의 철조망이 끝나는 지점에서
좌측의 철조망을 따라 10여분을 내려서니
부평시내가 펼쳐지고 현대 아파트가 보인다.

그동안 잘 참아주던 비가 부슬 부슬 내리기시작하고
하루종일 스틱 삼아 지니고 다니던 우산이 제 구실을 하게 되었으니
하늘에 감사하며 구세군에서 운영하는 인평 정보고등학교 옆을
지나서도 1km 이상을 걸어서야 백운역에 도착하며
지형을 살펴보니 주능선을 끝까지 타고 와야하는것을
주민들의 말에 너무 의존하다보니 마지막에 등로를 이탈하는
실수를 하고 말았다. - 14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