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무도란?
선무도는 흔히 위빠사나라고도 불리는 수행법으로 불교의 안반수의경(安般守意經)에 전하는 전통수행법입니다. 본래는 불교금강영관(佛敎金剛靈觀)이라고 해서 부처님으로부터 전수되어 온 수행법입니다. 선무도는 깨달음을 위한 실천적 방편으로서, 우리에게 익숙한 요가나 명상을 아우르는 관법수행법입니다. 선무도는 위빠사나 혹은 요가처럼 인도에서 오랫동안 이어져 내려오는 수행법으로서 참선의 원류에 해당하며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배워 익힐 수 있는 수련법입니다.
현대인들의 정신적 고뇌와 신체적 질병을 가져 올 수 있는 갖가지 스트레스와 육체의 불균형을, 선무도 수련을 통하여 건강한 몸과 마음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즉, 몸과 말과 사유, 다시 말하면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것 - 행동하고, 말하고, 생각하는 것 - 을 잘 살피고 정화하여 조화롭게 이끌어나감으로써 도를 이룰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선무도를 통해 누구나, 몸과 마음이 활짝 열린 대자유인을 염원하며, 우주와의 일체를 이루는 세계로 나아가고자 함입니다.
- 선무도의 수행관
불교의 전통적인 수행법 가운데 밀교(密敎)의 일종인 관법(觀法)이란 수행법이 있습니다. 고대 중국의 천태산 수선사(修禪寺)의 지의조사가 저술한 수습지 관좌선법요(修習止觀坐禪法要)란 책에 의하면 "대저 열반에 이르는 방법은 여러 길이 있으나 가장 핵심적인 것은 지(止)와 관(觀) 두 방법밖에 없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육조 혜능대사 이후로 체계적인 선의 개념으로 발전되어 우리나라로 전래된 오늘날의 선의 원류라고 할 수 있는 이 관법은 원래,
고대인도의 선주민(先住民)들에 의해 베다사상과 더불어 발전된 요가(Yoga)적인 수행방법으로서 당시 인도의 바라문 수행자들에겐 일반화되어 있었습니다.
그 후, 불타의 출현과 함께 새로운 사상과 철학이 정립되면서 불교적인 독특한 형태의 수행방법으로 발전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밀교적인 관법이 오늘날 한국 불교의 전반적인 의식이나 수행법에도 짙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선무도(禪武道-불교 무술)의 핵심은 바로 이러한 관법을 토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선무도가 단순한 무술의 차원을 넘어서서 깨달음을 구하기 위한 수행의 한 방편임을 밝히고, 아울러 부처님의 가르침과 어떠한 연관성을 이루며 그 사상적 배경과 수행법으로 전해져 왔는지를 경전과 그와 관련된 문헌을 토대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에는 현교(顯敎)와 밀교의 두 가지 방편이 있습니다.
현교는 나타내서 설(說)해진 가르침인데 비해서 밀교는 비밀로 설해진 가르침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법신불(法身佛)인 大日如來(비로자나불)가 깨달은 내용을 스스로 비추어 보면서 즐기는 자수자락(自受自樂) 삼밀(三密)의 가르침을 밀교라고 하며 범어로는 구흐야나(guhyana)라는 말에 해당됩니다. 이러한 밀교적인 측면에서 유통된 불교의 역사를 보면 원시불교에서 대승과 소승의 부파시대를 거쳐서 힌두교에서 파생된 탄트라교와 불교가 합일된 대승으로서의 탄트라 불교를 생각할 수가 있습니다. 불교가 발생할 당시 인도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선주민들에 의해 전통적인 수행방법이 요가와 같은 형태로 성행되고 있었으며 인도의 모든 종교나 철학파에 보편적으로 수용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부처님께서도 출가 후, 당시의 일반적인 수행법인 요가와 같은 고행으로 6년을 바라문 수행자들과 같이 생활을 했지만 결국 깨달음을 얻지 못하고, 그러한 육체 본위만의 고행 이 올바른 길이 아님을 느끼고 나란쟈라 강가에서 소녀가 공양하는 우유죽을 받아 먹고 심신의 안정을 취한 후 선정에 드신 뒤 드디어 대해탈의 깨달음을 얻으신 바와 같이 깨달음을 구하는 수행의 길은 몸과 마음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도 안되며 오직 둘의 적절한 조화를 통해서만이 삼매(三昧)를이룰 수 있다고 하겠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조화란 몸과 마음은 물론 강(剛)과 유(柔), 동(動)과 정(靜), 주관과 객관, 나와 너 나아가서 우주와 나의 조화인 것입니다. 이는 곧 부처님의 중도사상(中道思想)이 라 말할 수 있으며 바로 관법수행의 핵심적인 요지라고 봅니다. 이러한 관법, 즉 밀교는 소승적인 수행방법에서 점차적으로 대승적인 형이상학이 가미되어 7C 후반에 서쪽 인도에서 대일경(大日經), 금강정경(金剛頂經)등이 만들어지면서 불교의 정통적인 지위를 주장하게 됩니다. 인도에서 불법이 쇠퇴할 무렵 중국으로 건너온 달마대사와 같은 인도의 고승들은 거의가 밀교의 달인들로서 이들은 「금강승(金剛乘)」으로 불려졌습니다.
이러한 금강승 계통의 승려들이 불법을 홍포하기 위한 방편으로 여러 가지 신통자재한 묘술을 나투어 중생들을 감화했다는 전설은 우리나의 초기불교사에서도 많이 찾아 볼 수가 있습니다. 특히 달마대사가 창안한 나한공(羅漢功)과 역근경(易筋經)은 후세에 무술과 건강법에 공헌한 바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부처님의 최초 설법인 고(苦), 집(集), 멸(滅), 도(道) 사성제중에서 도제의 구체적인 수행덕목인 팔정도(八正道)의 정정(正定)은 관법의 생명이라고 불려지는 요가법으로 불타(佛陀)도 이 요가의 삼매를 수행의 근본으로 삼았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 관법수행의 요지는 신(身), 구(口), 의(意) 삼밀(三密)을 구하고자 하는 데 있습니다. 여기서 삼밀이라 함은 우리가 흔히 삼업(三業)이 리고 할 때 이른바 업의 구성 조건이 되는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몸과 마음과 입을 말합니다. 윤회의 동인(動因)이 되는 신, 구, 의 삼업을 정화하고 조화를 이룸으로서 과거의 업장을 소멸하고 현세에서 보리를 증득할 수 있는 방편인 것입니다.
이를 천태소지관(天台小止觀)에서는 조신(調身), 조식(調息), 조심(調心)이라고 하는데, 조신이란 몸을 고르게 한다는 뜻으로서 신체적인 단련을 뜻한 인도의 요가나 중국의 선도법(仙道法)등에서는 정적(靜的)인 수련에서부터 강하고 동적(動的)인 갖가지 동작을 통해서 유연성과 탄력, 근력이나 균형을 발달시킴으로써 신체를 고르게 발달시키는 방법입니다.
여기에는 앉아서 하는 좌관(坐觀), 서서하는 입관(立觀), 움직이면서 하는 행관법(行觀法)등으로, 행(行), 주(住), 좌(坐), 와(臥), 어(語), 묵(?), 동(動), 정(靜)의 전반적인 행위 일체를 수행적 차원에서 합리적인 조건과 방법으로 조화하는 것이라 하겠습니다.
이러한 행법(行法)을 선무도(禪武道:불교무술)의 측면에서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면, 신체를 팔, 다리, 배, 등, 머리의 다섯 부분으로 보고 이를 부드럽게 풀고 탄력을 키움으로서 이미 퇴화되거나 기형화된 골(骨), 관절과 근육을 이완하고 교정하여, 신체의 균형을 바로 잡아 수행의 기본적 체질을 갖추고자 하는 요가와 같은 형식의 오체유법이란 운동법이 있습니다. 오늘날, 물질문명이 만연된 이른바 산업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편의주의적 사고방식에 의해서 지나치게 편리한 주거환경 을 꾸미고, 또한 여러형태의 분업화된 직업에 종사하는 가운데 자신들도 모르게 신체적인 불균형(기형, 퇴화)을 초래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해부,생리학적인 측면에서도 물론이겠지만 보다 다 정신적인
(심리학) 차원에서 분석해 보면 대다수가 심리적 불안에서 오는 신경성 질병을 앓고 있거나 심신의 불안정에서 오는 마음의 고통에서 번민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관법수행은 이러한 현대인들의 정신적 고뇌와 신체적 질병을 가져올 수 있는 불합리한 사고와 타성적 행위를 스스로의 수련을 통하여 정화하고 조화할 수 있는 수행의지를 체득케 함으로써 올바른 수행과 건강한 사회생활의 자세를 갖출 수있게 도와줍니다.
다음으로 선무도 수련법중 앉아서 수행하는 좌관법을 예를 들면, 가부좌를 취하고 깊은 호흡의 조화와 더불어 여러 형태의 수인(手印)을 연결 동작하여 심리적인 상태를 조작함으로서 삼매에 들고자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서 수인 또는 인계(印契)라고 함은 몸가짐으로서 부처의 세계를 계합하는 것을 표현하는 상징적인 동작의 형식으로 범어로는 무드라(mudra)라고 하는 것이다. 보통 인(印)이라고 하기도 하고 인상(印相)이라고 하는데, 반지의 모양으로 만든 도장이나 흔적을 뜻하는 것으로서 부처님의 깨달으신 내용을 법인(法印)이라고 하여 삼법인(三法印)이 있게 되었으니 인장과 같은 진실한 것이요 허망하지 않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인계라고 할 경우에 일차적으로 수인을 가리키는 것이지만 나아가서는 수인과 계인을 모두 가리키기도합니다.
다시 더 나아가서 수인이나 계인 외에 불상(佛像)이나 진언(眞言)을 얘기하기도 합니다. 이것은 금강정경에 설(說)해진 것이지만 대일경소(大日經疏)에서는 좁은 뜻으로 여러 성존의 삼매야신(三昧耶身)을 가리키기도 합니다.
관법수행에서, 인계는 마음을 한 곳에 머무르게 하여 유상요가의 삼매를 성취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이 유상요가의 삼매라고 하는 것은 우파니샤드와 원시불교의 수정파(修定派) 계통을 이은 것으로써 유상관(有相觀)을 통해서 무상관(無相觀)으로 간다는 걸 나타냅니다.
우리가 흔히, 법당에 모셔진 부처님과 보살상을 자세히 관찰해 보면 대체로 각기 다른 자세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앉거나 선 자세와 손의 수인이 각기 다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입니다. 과거, 현재, 미래를 상징하는 3천분의 불보살님 마다의 서원과 이상을 상징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처님의 형상 즉 인계를 우리의 인체와 연관을 지어서 생각해 보면 그 무수한 수인의 동작에 따라서 심리적인 상태나 생리적인 기능이 다르게 변화합니다. 이를 합리적인 조건에 맞추어 동작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몸과 마음과 호흡이 조화를 이루게 됨으로 곧 바로 삼매를 이루게 된 다고 보는 것입니다.
'나의관심 > 선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선무도의 역사 (0) | 2006.12.17 |
---|---|
[스크랩] 선무도 수련효과 (0) | 2006.12.17 |
[스크랩] 선무도 수련법요약 (0) | 2006.12.17 |